카테고리 없음

생강- 효능과 진실

봉화사랑 2020. 11. 8. 11:39

아시아 남동부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뿌리줄기가 향기롭고 톡 쏘는 맛이 있어 음식의 양념·향료나 약재로 쓰인다. 각종 양념이나 소스의 재료로 이용되고 꿀에 절여 차로도 애용한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사〉에 생강에 대한 기록(1018)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재배한 것으로 추정된다.

항암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억제하고, 피로와 식욕감퇴, 체중감소 등의 증상인 ‘악액질(Cachexia)’을 조절하는 한약물인 생강이 우리 몸에 항염, 항균 작용을 하여 만병의 근원인 염증을 잡는다고 할 수 있다.

염증은 남성 암 발병류과 여성의 암 방별률을 30% 내외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생강의 효능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중국의 성인 '공자'가 '몸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식사 때마다 반드시 챙겨 먹었다.'고 전해질 정도로 그 효능이 뛰어나다.

신진대사의 기능과 회복, 염증 해독에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동의보감에는 생강이 기침, 딸꾹질, 숨 차는 증상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언급돼있다.

생강의 매운맛을 내는 진게론쇼가올은 생강의 효능을 내게 하는 주요 성분이다.

이 두 성분은 티푸스와 콜레라균 등에 강한 살균작용을 해 감기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고, 특히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활성산소에 의한 유전자 손상을 막아 항암 효과도 뛰어나다.

생강에 있는 진제론(zingerone)은 얼얼한 맛을 낸다.

정유를 추출해 식품과 향수 제조에 이용한다.

향신료로서 생강은 약간 쓴맛이 나며 보통 말려 갈아서 빵, 과자, 카레 요리, 소스, 피클, 진저 에일 등에 이용하며, 요리할 때 쓴다.

생강의 이런한 효능으로 인하여 현대에 대 유행의 팬데믹에서 벗어날 수 없는 COVID19를 예방하고 면역력을 키우는 데 좋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강은 고창(鼓脹)과 복통을 치료하는 약재로도 쓰인다. 생강을 얇게 저며 꿀에 재웠다가 뜨거운 물을 부어 생강차로 마시기도 한다. 실제로 생강을 차로 마셨을 경우 체온이 상승하여 몸의 염증 반응을 완화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강은 열량이 적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구토를 멈추게 하고 위의 기를 열어 소화 흡수를 돕는다.

생강에 들어있는 '디아스타아제'라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장운동을 촉진하기도 한다. 이러한 생강의 효능은 생으로 먹을 때보다 쪄서 말려 먹을 때 더 높다.

특히, 말린 생강은 몸을 따뜻하게 하는 성질이 강해져 허리·다리 냉증과 추울 때 소변이 자주 나오는 사람이 먹으면 좋다.

몸을 따뜻하게 하면 체온이 올라가 염증 반응과 다른 세균 등의 활발한 활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여러분들이 많이 아시는 내용입니다.

 

 

 

 

생강이 감기를 악화시킨다는?

하루 일정량(10g-엄지손가락 크기) 정도로 지나치지 않게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강 섭취에 주의해야 하는 사람이 있는데

1. 치질 환자는 생강을 되도록 먹지 않는 게 좋은데 그 이유는 생강을 먹으면 항문의 혈관이 확장돼 치질의 증상이 더 악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 위가 약한 사람이 생강을 먹으면 위액이 지나치게 분비돼 위 점막이 손상될 수 있다.

3. 혈압이 높고 불면증이 있는 사람이 생강을 먹으면 체내 열이 올라가는 증세로 인하여 더 악화될 가능성이있어 신중하게 복용해야 한다.

 

생강차 만드는 법

생강차

재료 : 생강, 꿀 또는 설탕

 

   1. 흙이 뭍어있는 생강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는다.

   2. 칼이나 수저를 이용하여 껍질을 제거한다.

 

   3. 닦거나 하루정도 말려 물기를 제거한다.

 

   4. 병에 담고 꿀이나 설탕을 듬뿍뿌려 생강을 담가둔다.

   5. 하루, 이틀에 한번씩 위아래를 뒤집어 잘 섞이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