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일본 방사능 폐기물 방류 - 일본 방사능 피난민 생활 외면-특파원보고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후쿠시마 원전 일본 방사능 폐기물 방류 - 일본 방사능 피난민 생활 외면-특파원보고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다핵종(多核種) 제거설비’(ALPS·알프스)로 정화한 처리수를 원전 부지 내 탱크에 보관 중이나 2022년 여름께 탱크가 가득 찰 것으로 예상해 바다에 방류하기로 방침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에 오염수를 담아 둔 대형 물탱크가 늘어서 있다.

2019년 일본 연구팀에 의해 발표된 후쿠시마 원전사고(2011년)이후 세슘137이 해류로 이동하면서 동해로 흘러들었다는 연구 결과이다.

일본 카나자와대와 후쿠시마대가 2018년 국제학술지 해양과학에 발표한 논문에서 2011년 사고 이후 원전에서 흘러나온 세슘137 오염수가 북태평양에서 어떻게 확산되는지를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했다.

 논문에 따르면 오염수는 대부분 쿠로시오 해류를 타고 일본 북동쪽으로 흘러 북태평양으로 이동했으나 일부는 해류에서 떨어져 나온 수괴를 타고 남쪽으로 내려왔다. 수괴는 성질이 비슷한 바닷물 덩어리를 뜻한다. 수괴에서 일부 오염수는 이후 쓰시마 해류를 타고 동중국해에서 동해 쪽으로 흘러들어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과기원은 2013년에도 중국 제1해양연구소와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이후 방사능 오염수 예측 모델을 만들어 분석한 결과를 내놨는데. 방사능 오염수는 6년이 지나면 태평양 전체로 퍼지고 10년 후에는 한국 해안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2011311, 도호쿠 대지진과 쓰나미로 원자력발전소 융해사고가 일어난 후쿠시마현은 일본내에서 최고 품질로 손 꼽히는 송이 등 버섯의 산지이나 사고 10년째인 현재도 버섯에서 기준치보다 3배 이상 높게 방사능 수치가 나오고 있다.

NHK 방송은 17일 후쿠시마 버섯 농가들의 '타는 농심(農心)'을 현장 르포로 전했다.

2015811일 일본 도쿄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총리 관저 앞에서 시위자들이 반핵 시위를 벌이고 있는 가운데 한 여성이 시위를 하며 눈물을 보이고 있다.

후쿠시마 사고 10년을 앞둔 지금 많은 피폭인들이 여전히 피난생활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각지의 피난민들이 오사카를 비롯한 지방재판소에서 소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10만 명의 방사능 피난민이 생겼습니다

갓난 아기가 초등학교를 다닐 정도의 긴 세월이 흐를 동안 주로 공공 피난처에 살았는데 도쿄올림픽을 앞둔 일본 정부가 이들을 피난처에서 내보내고 있습니다. 

2021년 3월이면 동일본 대지진 원전사고 10주기를 맞이하는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가 안전해졌으니까 돌아가라는 것인데 상당수의 피난민은 방사능 공포 때문에 돌아가지 못한 채 객지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방사능 피해는 5~10년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장기간 지켜봐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는 이제 안전하니 방사능 피난민에게 돌아오라고 합니다.

일본 정부가 2021년 7월 32일~8월8일로 예정되어 있는 도쿄 올림픽 개최를 위해 피난자를 숨기려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아직도 후쿠시마 지사는 피난민들을 한 번도 만나주지 않았습니다. 

일본 정부는 올림픽을 위해 마치 원전 사고가 없었던 것처럼 하고 있습니다

일본 후쿠시마 산림 지대 방사성 오염물질이 평지로 이동해 방사성 세슘이 도로, 주택 등으로 퍼져나가는 등 재오염이 광범위하게 일어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으나 정부에서는 방사능 수치가 내려갔다고 안심시키려고하나 사고 직후보다 내려갔을 뿐 사람이 정상적인 활동을 하기에는 너무도 위험한 수치입니다.

그린피스는 이런 상황에서도 일본 정부가 ‘피난 지시’를 해제해 주민들의 귀환을 종용하는 것은 심각한 인권침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원전사고 당시 미국, 프랑스 국민들은 전세기로 자국민을 피신시킨 사실에 대해서도 모르고 있었고 이를 알았다면 그 심각성을 깨달아 더 빨리 피신했을 것이라는 방사능 피난민의 이야기도 있습니다. 

또 일본 시민단체 등은 후쿠시마에서 소아갑상선암이 급증하는 등 건강피해가 본격화하는 것과 이주노동자들이 방사능 제염 작업에 집중 동원되면서 피폭되고 있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일본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은 일본 정부가 국제 기준에 어긋나는 피폭 한도선량을 정한 뒤 성급하게 피난 해제 조치를 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인체가 방사선에 노출되면 백혈병, 림프종과 같은 비고형암(혈액암)과 간암, 폐암, 유방암 등 고형암에 걸릴 가능성이 피폭량에 비례해서 높아진다.

아무리 적은 방사선량도 사람에 따라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방사능 피난민들은 생활의 불안정성과 취업문제, 빈곤 문제 그로인한 정서불안과 가족과의 생이별을 경험하고 게다가 학교나 주위사람들로부터의 집단 괴롭힘과 고향에 남아 있는 사람들과의 갈등, 자녀들의 제대로된 교육 기회 박탈로 인한 발달장애 등의 심각한 문제에 대해서도 호소하고 있습니다. 

원전사고 영향으로 후쿠시마 주민들의 건강피해도 본격화하고 있다. 이들 중 소아갑상선암으로 수술까지 한 환자는 186명이다. 

일본 정부가 구성한 ‘후쿠시마현민 건강조사 검토위원회’에 따르면

2020년 2월 현재 후쿠시마현 내 소아갑상선암 환자는 악성 의심환자(암으로 의심되는 환자)를 포함해 공식적으로 236명이다.

소아갑상선암은 희귀질병이라 1년에 100만 명당 1명꼴로 발생한다. 후쿠시마 어린이 인구가 35만 명이니, 대략 3년에 1명꼴로 발생하는 것이 평균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가지 이유로 일본 전역에서 진행되는 원전사고 배상 집단 소송이 30여건에 달하고 있으나 일본 정부에서는 비국민으로 낙인찍으며 오히려 원전 사고 피해자들을 나쁜 비국민으로 몰아가고 있어 피해자의 삶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더 피폐해지고 있다.

원전 배상 효고현 소송에 참가하고 있는 마키 나오미 씨는 아버지가 몸 이곳 저곳 다섯 군데에 각각의 암이 발생하였다고 증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확실한 증거로 모든 후쿠시마 원전 피난민들을 이주시켜야 하고 배상해주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언제까지 일본 정부는 이러한 국가가 책임져야 할 문제를 개개인의 도덕적 문제로 몰고갈수 있을까요?

그리고 또한 원전수 방류로 인해 피해를 받는 국가들에 대한 무책임한 태도를 어떻게 일본 정부에 질타해야할까요?

우리 모두의 숙제로 남아있습니다.